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갈라파고스 신드롬'이란 무엇인가? : 뜻과 예시, 그리고 대처 방안

by 불꽃유랑단 2024. 5. 8.

어디선가 '갈라파고스 신드롬'이라는 말을 들어봤을 것이다. 뭔가 고립되어 있거나 세상과 동떨어져 있다는 느낌을 주는 말이다. 이 말은 특히 일본 언론에서 많이 언급된다. 일본의 IT산업의 부침을 설명할 때 많이 등장하고 심지어는 J-Pop이 세계 음악 트렌드와 동떨어져 있음을 지적할 때 심심치 않게 등장하기도 한다. 어떤 것인지 살펴보자.


 

'갈라파고스 신드롬'이란?

갈라파고스제도에콰도르에 속하는 19개의 섬으로 이루어져 있다. 남아메리카 육지에서 아주 멀리 떨어져 있어 독자적으로 진화한 고유한 종들이 생태계를 이루고 있다, 이런 이유로 인해 현실에 자연상태로 존재하는 자연사박물관을 방불케 했다. 그러나 현대로 오면서 육지와 교류가 빈번해 지자 외래종 유입이 불가피하게 이루어졌고 면역력이 약한 종 중심으로 멸종위기를 맞게 됐다. 이러한 갈라파고스제도의 현상은 글로벌 시대에 특정 경제현상을 지칭하는 용어로 쓰이기 시작했다.

 

갈라파고스 신드롬특정 기술이나 서비스가 국제 표준과 다른 독자적인 방식으로 발전하다가 결국 세계 시장과 고립되는 현상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말이다. 마치 갈라파고스 제도에 서식하는 고유한 종들이 섬 밖 세계와 고립되어 독자적으로 진화한 것처럼, 특정 시장이나 문화권에서만 발전한 기술이나 서비스는 국제적인 경쟁력을 잃고 쇠퇴하게 될 수 있다는 경고를 담고 있다.

 

쉽게 말해, 다음과 같은 상황을 갈라파고스 신드롬이라고 부른다.

  • 국제 표준과 괴리 : 독자적인 기술 규격이나 서비스 방식을 고집한다.
  • 내수시장에만 집중 : 해외 진출을 시도하지 않거나, 시도하더라도 국제 시장의 요구에 맞지 않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한다.
  • 외부 경쟁으로부터 고립 : 국제 시장과의 교류가 부족하여 새로운 기술이나 트렌드를 따라가지 못한다.
  • 결국 쇠퇴 : 경쟁력을 잃고 시장 점유율을 줄이며, 심각한 경우에는 사라질 수도 있다.

 

갈라파고스 신드롬의 예

위와 같은 상황적 특징을 모두 갖고 있는 대표적인 예일본의 IT산업이다. '갈라파고스 신드롬'이라는 말을 처음 사용한 사람도 일본사람이다. 

 

'갈라파고스 신드롬'이라는 말을 처음 쓴 사람일본 휴대전화 인터넷망인 '아이모드'를 개발한 '나츠노 카테시'이다. 그는 일본의 휴대전화가 기술적으로는 상당히 진보되어 있지만 일본 이외에는 팔리지 않는 현상을 나타내기 위해서 갈라파고스 신드롬이라는 용어를 만들어 냈다. 

 

사실 일본은 디지털 분야에서 시대를 앞서가는 때가 있었다. 1999년에 이미 이메일서비스를 선보였으며, 그 후 카메라폰, 3G 네트워크 서비스, 전자결제 등의 서비스를 잇따라 출시했다. 그러나 너무 빠른 서비스 상용화가 독이 된 측면이 있다. 일본은 국제표준을 따르지 않아 세계시장에서 고립되는 결과를 초래하고만 것이다. 일본이 3G 서비스를 상용화한 것은 2001년이었고 우리나라에서 3G를 도입한 시기는 2007년이다. 

 

일본-디지털-서비스-아이모드
스마트폰 원조인 NTT도코모의 '아이모드'

 

'갈라파고스 신드롬'은 일본에서 탄생한 용어지만, 이와 유사한 현상은 세상 곳곳에서 관찰된다. 지금은 전기차로 인해 상황과 좀 맞지 않지만 한때 미국의 자동차시장은 전형적인 갈라파고스 신드롬의 모습을 보였었다. 과거 미국의 자동차 산업은 크고 연비가 낮은 차량을 선호하는 내수지상에 최적화된 생산방식을 유지하고 있었다. 하지만 유럽과 일본의 경쟁력 있는 소형차와 친환경 자동차의 등장으로 시장점유율을 크게 잃었다. 전형적인 갈라파고스의 모습이었다.   

 

한국의 게임시장갈라파고스화우려하는 시선도 존재한다. 과거 한국은 온라인 게임 시장에서 크게 의미 있는 성장을 이뤘다. 그러나 모바일 게임의 등장과 해외 시장 진출 어려움으로 인해 갈라파고스 신드롬에 빠질 위험에 처해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앞으로 지켜볼 일이다.

 

갈라파고스 신드롬을 피하기 위한 기본적인 방안

갈라파고스 신드롬을 피하는 방법은 위에서 특징적인 현상으로 든 것을 참고하면 된다. 문제적 현상에 바로 해답이 있다. 몇 가지 생각해 보자.

  • 국제표준 준수 : 국제적으로 합의된 기술 규격과 서비스 방식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준수해야 한다. 산업표준이 중요한 산업에서는 절대적인 요소다. 
  • 해외시장 진출 : 갈라파고스 신드롬은 세계화와 직접적으로 연관된 용어다. 해외 시장의 요구와 트렌드를 분석하여 경쟁력 있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개발하고 적극적으로 해외로 진출해야 한다.
  • 끊임없는 혁신 : 새로운 기술과 트렌드지속적으로 연구하고 개발하여 경쟁력을 유지해야 한다. 기술분야는 제품수명주기도 극단적으로 짧다. 혁신 없이는 바로 시장에서 고립될 수밖에 없다.
  • 개방적이고 협력적인 태도 : 해외 기업과의 기술 교류와 협력을 통해 새로운 기회를 창출해야 한다. 그래서인지 거대 IT기업들의 기술 제휴와 협업이 하나의 대세 현상으로 떠오르고 있다.

갈라파고스 신드롬은 이제까지 본 것처럼 특정 시장이나 문화권에서만 발전한 기술이나 서비스가 국제 시장과 고립되어 쇠퇴하는 위험한 현상을 말한다. 글로벌화가 급격하게 진전되면서 출현한 용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피하기 위해서는 국제 표준을 준수하고, 해외 시장에 적극적으로 진출하며, 끊임없이 혁신하고 개방적인 태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우리나라처럼 내수시장이 빈약한 상황에서는 더욱 주의해야 한다. 명심하자. 안주하는 순간 퇴보하기 시작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