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경영전략에 대한 비판적 시선 : 헨리 민츠버그의 전략 사파리

by 불꽃유랑단 2024. 1. 2.

전략이라는 용어가 익숙해진 이래 기업들은 실로 많은 전략들을 수립했다. 큰 기업일수록 더 많은 전략을 갖고 있을 것이다. 그런데, 가만히 생각해 보면 수립된 전략이 제대로 실행되는 경우를 많이 보지 못했을 것이다. 특히, 복잡하고 스케일이 큰 전략일수록 실행되지못하는 경향마저 있는 것 같다. 전략도 결국 사람을 통해서 실천되어야 한다. 이와 관련된 유명 학자의 주장을 들어보자. 바로 헨리 민츠버그의 주장이다. 

 

 

전략에 대해 광범위하게 다루고 강점과 단점을 망라하여 여러 허점에 비판을 가한 유명한 학자가 있다. 월스트리트 저널이 뽑은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경영사상가 20'에 선정된 독창적 연구자 '헨리 민츠버그(Henry Mintzberg)'다. 민츠버그는 자신의 책 "Strategy Safari: The Complete Guide through the Wilds of Strategic Management"에서 이제까지 출현하고 알려진 전략들에 대해 분석하고 10개의 전략 학파로 분류해 장단점을 분석했다. 그리고 기존 전략에 대해 비판을 가하면서 새로운 전략수립 방법론을 제안했다. 

 

헨리 민츠버그의 전략에 대한 관점

먼저 민츠버그의 전략에 대한 관점을 살펴보자.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 전략은 단순히 계획이나 목표가 아니라, 기업이 환경에 적응하고 변화하는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수정하고 발전시켜 나가는 과정이다.
  • 전략은 기업의 내부 자원과 역량, 경쟁 환경, 그리고 경영자의 인식과 의사 결정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 전략은 다양한 학파와 관점으로 접근할 수 있으며, 그 각각의 장단점이 있다.

 

민츠버그는 경영전략을 "기업이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수행하는 일련의 행동과 결정"으로 정의한다. 그는 앞에서 본 것처럼 전략이 단순히 계획이나 목표가 아니라, 기업이 환경에 적응하고 변화하는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수정하고 발전시켜 나가는 과정이라는 점을 특히 강조한다.

 

민츠버그는 경영전략을 크게 10개의 학파로 분류했다. 각 학파는 기업의 환경, 경쟁, 목표, 전략의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관점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디자인 학파는 기업의 환경과 목표를 고려하여 최적의 전략을 설계하는 데 초점을 맞추는 반면, 학습학파는 기업이 환경의 변화에 적응하고 발전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학습하고 적응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민츠버그는 각 학파의 장단점을 분석함으로써 경영자들이 전략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데 있어서 보다 현실적이고 효과적인 접근 방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했다.

 

민츠버그의 전략에 대한 관점은 경영전략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전략을 단순한 계획이나 목표가 아니라, 기업의 현실을 반영하고 환경에 적응하는 과정으로 보는 관점을 제시함으로써, 경영자들이 전략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립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도왔다.

 

헨리 민츠버그가 분류한 경영전략의 10개 학파

그럼 민츠버그가 분류한 10개 학파를 살펴보자.

 

  • 디자인 학파(Design school) : 기업의 환경과 목표를 고려하여 최적의 전략을 설계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발상의 과정을 통해 전략을 도출한다. SWOT 분석 등 구조화된 전략 기법을 선호한다.
  • 플래닝 학파(Planning school) : 기업의 전략을 체계적이고 합리적으로 수립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규정된 양식을 통해 전략을 도출한다. 마케팅 매트릭스 등 세부계획 수립을 선호한다.
  • 포지셔닝 학파(Positioning school) : 기업이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한 위치를 확보하는 데 중점을 둔다. 보통 분석 과정을 거쳐 전략을 도출한다. 마이클 포터로 대표되는 경쟁 구도 하의 위치 선점 개념이 중심 역할을 한다.
  • 기업가정신 학파(Entrepreneurial school) : 리더의 상상력과 비전을 통해 전략을 도출한다. 실행 과정에서 독창적으로 도출되는 창의력을 중시하는 경향을 보인다.
  • 인지학파(Cognitive school) : 정신적 과정을 거쳐 전략을 도출한다. 통찰이나 직관을 통한 전략 수립이 우세하다.
  • 학습학파(Learning school) : 구성원들의 역량을 통해 전략을 도출한다. 핵심역량, 학습조직, 지식경영 등의 개념을    많이 사용한다.
  • 권력학파(Power school) : 협상과정을 통해 전략을 도출한다. 권력과 일종의 정치를 통해 전략을 수립하게 된다.
  • 문화학파(Cultural school) : 축적된 절차를 통해 전략을 도출하게 된다. 조직문화 등 기업이 축적한 역량을 통한 전략 수립을 선호한다.
  • 환경학파(Environmental school) : 주어진 환경에 대한 대응을 바탕으로 전략을 도출한다.
  • 구성학파(Configuration school) : 변화와 절차를 통해 전략을 수립한다.

 

위의 10개 학파 중에서 우리에게 친숙한 것은 아마 디자인 학파, 플래닝 학파, 포지셔닝 학파 정도일 것이다. 그러나 이들 역시 다양한 경영전략의 일부에 불과하다. 민츠버그는 기업가정신 학파와 학습학파에서 중시하는 '창발적 전략(Emergent Strategy)'을 강조한다. 

 

헨리-민츠버그의-책-전략사파리
Henry Mintzberg "Strategy Safari"

 

민츠버그의 전략 대안 : 창발적 전략

이제 민츠버그가 그토록 강조하는 창발적 전략에 대해 보자.

 

민츠버그는 창발적 전략의 사례로 일본기업 혼다와 세이코마트를 든다. 먼저 혼다의 사례다. 책에서 '혼다 이펙트'라고 부르는 것이다. 혼다는 미국시장에 진출하면서 250cc, 305cc 모델을 주력으로 삼았다. 할리 데이비슨으로 대표되는 대형 고가 모터사이이클에 대응하고자 한 전략이었다. 그러나 마케팅 전략은 전혀 통하지 않았다. 그러다 미국의 현지 바이어가 혼다의 50cc 제품에 주목하고 판매를 제안했다. 경쟁력이 없으리라 생각했던 50cc 소형 모터사이클 모델은 의외의 큰 히트상품이 되었다. 

 

세이코마트는 당시 주류도매상 영업사원이 창업한 것인데, 막연히 미국에 편의점이 유행하고 있다는 정보를 접하면서 사업이 시작되었다. 세븐일레븐보다 무려 3년 앞선 편의점 창업이었다. 창업주의 회고를 들어보면, 세세한 계획에 입각해 창업을 한 것은 아니었다. 영세 주류 판매점을 살리고 싶다는 동기에서 시작된 것이라는 것이다. 창업 후 시행착오를 거듭하면서 전략을 수정해 나가 마침내 성공적인 전략에 도달한 것이다. 

 

처음 구상한 전략이 비즈니스의 현실 세계에서 끝까지 들어맞을 리 없다. 예상치 못한 변수는 생기기 마련이며, 결과적으로 당초의 것과 전혀 다른 전략으로 변해있는 모습을 흔히 볼 수 있다. 전략의 적절성은 사후적으로 검증되는 것이다.

 

민츠버그의 결론은 이렇다. 전략에는 철저한 구상하에 수립된 '계획된 전략'과 시행착오를 통해 학습을 축적시키면서 완성되는 '창발적 전략'이 있다. 계획된 전략에만 의존하고 실행을 통한 학습을 등한시하면 현실의 벽에 부딪혀 성공하지 못한다. 반대로 즉흥적이고 창발에만 의지한 전략은 방황을 거듭하여 성공하지 못한다. 양자를 잘 조합해야 훌륭한 전략이 나온다. 

 

민츠버그는 겉이 화려한 경영이론을 신랄하게 비판한다. 그는 항상 실행을 중시한다. 직감(Art)과 장인의 기술(Craft), 과학(Science) 사이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누누이 강조한다. 

 

훌륭한 전략은 경영 이론을 바탕으로 구상하고 현장에 나와 실천하면서, 그 과정에서 배운 것을 더해 창발적인 진화를 시킬 때 비로소 탄생한다고 할 수 있다. 

 

민츠버그는 이 책을 통해 전략의 현실을 말해준다. 전략의 한계와 가능성이라고 해도 좋을 것이다. 그리고 역사적으로 등장한 수많은 전략들을 개관해 볼 수 있도록 하고 비판적 시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 책의 가장 중요한 주장은 화려하고 거창한 전략의 불완전성에 대한 것일 것이다. 실행을 통해 전략을 수행해 나가는 것이 진정 의미 있는 전략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도요타를 겨냥해 일본은 전략이 부재하다고 비판을 가한 마이클 포터에게 오히려 일본 기업이 포터에게 전략의 기초를 가르쳐야 마땅하다고 비판한 것이다. 민츠버그의 전략에 대한 생각은 현대의 애자일과도 맞닿아 있다. 완벽한 전략 수립이라는 덫에 걸려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는 현장의 경영자에게 큰 위로가 되는 주장이라는 생각이 든다. 전략에 대해 조금은 말랑한 시각을 갖고 일단 실행할 수 있는 전략 수립에 착수해 보자.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