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쓰레기통 모형(Gabage Can Model) : 의사결정, 합리적으로 이루어지나?

by 불꽃유랑단 2024. 6. 6.

우리가 보통 의사결정을 생각할 때, 문제인식과 정의, 대안개발, 대안분석과 평가, 대안선택과 실행 순서의 흐름을 거치면서 합리적인 절차와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긴다. 그러나 과연 그런 식으로 의사결정이 이루어지는지 스스로 돌아봐야 할 필요가 있다. 그렇지 않다고 생각한다면 이제 다룰 '쓰레기통 모형'을 주목해 보자.


 

'쓰레기통 모형(Garbage Can Model)'은 조직에서 의사 결정이 일정한 규칙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문제, 해결책, 선택 기회, 참여자의 네 요소가 쓰레기통 속에서와 같이 뒤죽박죽 움직이다가 어떤 계기로 서로 만나게 될 때 이루어진다고 보는 의사 결정 모형이다. 이 모델은 1972년 Michael D. Cohen, James G. March, Johan P. Olsen에 의해 처음 제시되었으며, 조직의 의사 결정 과정이 '조직적 무정부 상태(organized anarchy)'라는 상황에서 이루어진다고 본다.

 

쓰레기통 모형에서 '조직적 무정부 상태'는 이 모델을 설명하는 핵심적 개념이다. 이 개념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 불일치적이고 명확하지 않은 선호도 : 조직 구성원들은 서로 다른 목표와 가치를 가지고 있으며, 어떤 문제가 중요한지, 어떤 해결책이 바람직한지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가 많다.
  • 불분명한 기술 :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 유동적인 참여 : 의사 결정 과정에 참여하는 구성원이 자주 바뀌거나, 새로운 구성원이 등장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면 앞에서의 논의를 토대로 쓰레기통 모형의 핵심요소에 대해서 보자.

  • 문제 : 해결해야 할 문제나 과제를 말한다. 의사결정의 출발점이 된다.
  • 해결책 :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안이나 방법을 말한다.
  • 참여자 :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하는 사람들을 가리킨다.
  • 선택기회 : 의사결정이 이루어지는 기회를 의미한다.
  • 조직적 무정부 상태 : 조직의 선호도가 일관성이 없고, 기술이 불분명하며, 의사결정 과정이 유동적이다.
  • 쓰레기통 : 문제, 해결책, 선택기회, 참여자가 서로 만나는 공간이다.

위의 여러 요소는 서로 독립적으로 발생하고 흐르며, 선택 기회라는 쓰레기통에서 서로 만나 의사결정이 이루어진다고 한다. 즉, 의사결정은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과정을 거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우연의 만남과 정치적 힘겨루기를 통해 이루어진다고 주장한다.

 

쓰레기통-모형
쓰레기통 모형은 문제, 참여자, 선택기회, 해결책이 우연히 만날 때 의사결정이 이루어진다고 본다

 

쓰레기통 모형의 핵심 주장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정도라고 생각된다.

  1. 조직의 의사결정명확한 규칙이나 합리적인 분석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2. 문제, 해결책, 선택 기회, 참여자의 네 요소는 각각 독립적인 흐름을 형성하며, 우연히 만나는 과정에서 의사 결정이 이루어진다
  3. 의사 결정의 결과는 우연성과 참여자들의 힘에 의해 영향을 받다. 어떤 흐름이 우연히 만나는지에 따라 의사결정 결과는 달라지며, 이는 예측하기 어렵다.

쓰레기통 모형은 다음과 같은 조직의 의사결정 특징을 설명하는 데 유용하다.

  • 불확실성과 모호함 : 조직은 미래를 예측하기 어려운 불확실한 환경 속에서 운영되며,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가 부족하거나 명확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이러한 사실은 조직의 의사결정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데 중요한 이해점이다.
  • 문제의 흐름 : 조직은 끊임없이 새로운 문제들이 발생하며, 기존 문제들이 해결되기 전에 새로운 문제들이 등장하는 경우가 많다. 즉, 의사결정을 위한 흐름 자체가 뒤죽박죽이라는 이야기다.
  • 해결책의 흐름 : 해결책은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제시되거나, 문제가 발생한 후에 제시될 수도 있다. 해결책은 항상 문제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으며, 부작용을 유발할 수도 있다.
  • 참여자의 흐름 :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조직 내부의 다양한 부서나 그룹에서 온 사람들이며, 서로 다른 이해관계와 목표를 가지고 있다. 의사결정에 있어 조직의 정치적 행위를 이해해야 한다. 
  • 선택 기회의 흐름 : 의사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기회는 예상치 못한 순간에 발생할 수 있으며,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하지 못한 사람들이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처럼 쓰레기통 모형은 조직의 의사 결정 과정이 합리적이고 계획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우연과 혼란 속에서 이루어진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는 현실 세계의 조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의사 결정 과정의 모습을 잘 반영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그러나, 쓰레기통 모형은 의사결정의 한 단면을 제시한 것이지 모든 의사결정이 이런 식으로 이루어진다고 보기는 어렵다. 그야말로 한 단면이라는 것이다. 이렇듯 쓰레기통 모형은 조직의 의사결정 과정에 대한 이해를 높여주는 중요한 이론이지만 다음과 같은 한계점도 갖고 있다.

  • 과도한 단순화 : 쓰레기통 모형은 조직의 의사결정 과정을 너무 단순하게 설명한다는 비판을 받는다. 현실 세계의 조직 쓰레기통 모형에서 제시하는 것보다 훨씬 더 복잡하며, 다양한 요소들이 의사 결정 과정에 영향을 미친다.
  • 규범적 제안 부족 : 쓰레기통 모형은 조직의 의사 결정 과정을 어떻게 개선해야 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제안을 제공하지 않는다. 조직의 의사결정 과정이 어떻게 무질서하고 우연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지는가에 대한 설명에 초점을 맞추고 있을 뿐이다.
  • 실증적 검증 부족 : 쓰레기통 모형은 실증적인 연구를 통해 충분히 검증되지 않았다는 비판을 받는다. 실제 조직에서 쓰레기통 모형이 얼마나 적용되는지에 대한 명확한 증거부족하다.

이러한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쓰레기통 모형은 조직의 의사 결정 과정에 대한 중요한 통찰력을 제공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는 유용한 이론이기도 하다. 그러나 쓰레기통 모형이 조직의 의사결정 과정을 이해하는 데 유용한 도구이지만, 당연하게도 조직의 의사결정 과정에 대한 유일한 설명은 아니다. 조직의 의사결정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쓰레기통 모형과 함께 다른 조직 이론들을 함께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쓰레기통 모형은 의사결정의 한계를 알려주는 하나의 경고로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 그리고 잘못된 의사결정을 하지 않도록 하는 주의점으로 삼을 수 있을 것이다. 조직의 의사결정이 일종의 정치적 지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지적은 정말 의미심장하다. 쓰레기통 모형을 참고하여 비합리적 요소가 개입될 여지를 최대한 줄인, 자신의 조직에 적합한 더 좋은 의사결정 모델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여러 사람이 모인 집단에서 가장 어렵고, 또 그래서 가장 중요한 일 중 하나는 여러 견해를 하나로 모으는 일이다. 즉, 의사결정은 원래 어려운 과제다. 많은 주의를 기울여야 마땅할 것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