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은 창의성이 있어야 인재라고 인정받는다. 이와 연관되어 리더에게 가장 요구되는 덕목도 창의성이라는 인식이 일반화되었다. 많은 조직들이 창의성을 높이기 위해 골몰하고 있다. 언젠가는 사내 아이디어 공모가 유행처럼 번진 적이 있다. 이러한 단기적 방법 말고, 장기적으로 창의성을 안착시킬 방법은 없을까?
창의성의 중요성과 창의성을 저해하는 경우
스탠퍼드 대학교의 '제레미 어틀리(Jeremy Utley)'와 '페리 크레반(Perry Klebahn)'은 1,500명의 CEO를 대상으로 비즈니스 리더에게 가장 요구되는 역량이 무엇인지 설문조사를 진행한 적이 있다. 조사결과 답은 바로 '창의성'이었다. 조직에서 아무리 혁신적인 전략을 내놓는다고 하더라도 리더가 창의성을 발휘하지 못하면 혁신은 용두사미가 될 수 있고, 혁신을 추동할 새로운 아이디어와 제품을 개발할 수 없다. 창의성은 리더에게만 필요한 것은 아니다. 조직 구성원들도 창의적이어야 한다. 그런데 팀에 창의성을 불어넣으려면 리더의 역할이 중요한 것이다.
어틀리와 크레반은 팀이 창의성을 발휘하지 못하는 이유를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
- 창의력이라는 것이 실제로 어떻게 작용하는지 리더가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
- 리더가 혁신에 대한 목표를 업무시스템에 반영하지 못하는 경우
- 리더가 일상적인 업무와 바쁜 업무에 붙들려 관료주의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경우
- 특정 방식으로 업무를 처리해야 한다는 강박으로 인해 사람들의 창의성을 저해하고 있는 경우
위와 같은 원인 분석을 기반으로 어틀리와 클레반은 팀의 창의성을 높이는 5가지 방법을 정리했다. 차례로 살펴보자.
팀의 창의성을 높이는 실천적 방법
조직 구성원에게 많은 아이디어를 요구한다
창의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일부러 많은 아이디어를 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아이디어를 내라고 할 때, 한 가지만 내라고 할 것이 아니라 5가지를 제출하라는 식으로 하는 것이다. 이렇게 많은 아이디어를 요구하면 양을 채우기 위해 엉뚱한 아이디어를 낼 소지도 있다. 그러나 사소해 보이고 엉뚱해 보이는 아이디어에서 진짜를 건질 수도 있다.
실패하지 않는 것이 진짜 실패다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사람은 없다. 따라서 실패를 감내하는 문화를 조성하려면 리더가 실패를 권장하는 정도까지 나아가야 한다. 하나의 사례에 의하면, 어떤 조직은 미리 실패 목표를 설정하는 경우가 있다고 한다. 결과적으로 목표 실패율에 미치지 못하면 도전을 하지 않았다는 것으로 해석한다. 실패하지 않는다면 그것이 정말 실패한 것으로 간주하는 것이다. 팀은 보통 조직을 안전하게 운영한다. 그러나 때로는 위험을 감수하지 않는 것이 가장 위험한 행동이 될 수 있다.
혁신을 위한 시간을 마련해야 한다
많은 조직들이 혁신할 시간이 부족하다고들 한다. 대부분의 조직이 시간이 빌라치면 회의든 미팅이든 채워 넣는다. 혁신에 중점을 두는 리더라면 예기치 못한 상황에 대비해 스케줄을 미리 비워둔다. 문제해결을 위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시간을 마련해 두는 것이다. 이같이 팀이 혁신을 이루려면 중요한 혁신 활동을 할 수 있는 시간을 미리 확보해 두어야 한다.
문제의식을 길어줘야 한다
새로운 솔루션을 찾기 위해서는 문제해결보다 문제를 발견하는 역량이 있어야 한다. 조직 전반에 문제의식을 길러주기 위해 제안제도나 문제제기 기회를 일상적으로 마련해야 한다.
결정을 미룬다
새로운 솔루션이 나오면 최종 의사결정을 미뤄보도록 한다. 의사결정을 미뤄 문제를 해결되지 않은 상태로 내버려 두기는 어려울 수도 있다. 하지만 문제를 계속 고민하는 과정에서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떠오를 수 있다.
위에서 제시한 방법들을 실행하면, 자신이 낸 아이디어가 업무에 반영되었다는 점에서 일의 의미를 찾고, 그로 인해 업무 몰입도가 높아진다. 창의성은 특별한 사람이나 재능 있는 사람만 가진 것이 아니라 누구가 창의성을 발휘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회의시간에 팀원들에게 아이디어를 낼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 중요하다. 브레인스토밍 같은 방법을 동원해 새로운 아이디어를 내도록 한다. 처음에는 어색해하던 팀원들도 시간이 지나면서 익숙해지고, 좋은 아이디어가 나오면 서로 인정하고 칭찬하는 분위기가 조성될 것이다. 또 아이디어가 실행되는 것을 눈으로 확인하면 팀 분위기도 좋아진다.
아이디어를 도출하는 다양한 기법을 활용해 어떤 아이디어든 편하게 제안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무엇보다 다른 사람의 아이디어나 의견을 지적하거나 무시하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 이렇게 하면 시키는 일과 주어진 일만 하던 팀의 분위기가 완전히 달라질 수 있다. 팀원들이 다양한 아이디어를 내면서 성과는 당연히 상승할 것이다.
댓글